반응형

나는 당신이 미국 부동산으로 부자가 되면 좋겠습니다

미국 부동산책 읽으면서 오픽 문제가 떠올랐습니다. 아파트에 산다는 말이 왜 좋지 않고, 스튜디오나 콘도에 산다고 말하는 것이 좋은 건지. 이 책은 미국 부동산을 모르는 분을 위해서 기초적인 개념부터 설명해 줍니다. 미국 부동산을 얻는데 필요한 절차를 상세하게 소개하고, 미국 부동산이 좋은 이유를 말합니다. 미국 이민 계획이 있는 분이라면 참고하기 좋은 책이라 생각합니다. 

나는 당신이 미국 부동산으로 부자가 되면 좋겠습니다

미국 주택 종류

  • 싱글하우스 single house: 단독주택
  • 콘도미니엄 condominium: 주상복합아파트와 유사
  • 타운하우스 town house: 다세대와 유사
  • 멀티유닛 multi unit: 다가우와 유사
  • 코압 Co-op: cooperatives: 콘도의 지분을 소유하는 개념

미국에서의 아파트(apartment)는 미국 정부나 공공기관이 공급하는 임대주택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콘도미니엄(콘도)은 어메니티가 있는데, 어메니티는 야외 수영장, 핫스파, 사우나, 피트니스 센터, 영화관, 노래방, 바비큐장, 클럽하우스, 놀이터, 공유 오피스 등 입주민들의 공용 공간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미국 주차장 종류

사이드 바이 사이드 side by side

주차장의 진입로가 도로에 닿아 있어서 각 주차장에 따로 주차가 가능하고 나란히 붙어 있는 주차장 (한국의 일반적인 주차장) 

탠덤 Tendem

1개의 큰 주차장 (선은 하나, 차는 여러 대) 

tendem parking

텐덤 주차선은 정말 비효율적인 주차;;

미국에서는 정말 신기한 주차선도 있구나 하면서 읽은 부분입니다. 미국은 땅이 넓으니까 주차는 어디든 여유롭겠지 생각했는데, 도심의 주차난은 어딜 가도 똑같나 봅니다. 나중에 미국 여행을 가게 된다면 주차장이 어떻게 생겼는지 관찰하게 될 것 같습니다. 


미국 부동산 구매 절차

  1. 지역 선택
  2. 공인중개사 선임
  3. 오픈 하우스 방문
  4. 사전심사추천서 받기
  5. 오퍼 넣기
  6. 카운터 오퍼 받기
  7. 계약서 작성하기
  8. 에스크로 계좌 개설
  9. 계약금 송금
  10. 주택 사전 점검
  11. 주택담보대출 신청
  12. 감정평가
  13. 공문서 서명, 공증과 아포스티유 확인
  14. 잔금과 등기

한국 부동산 구매 절차

askup에게 물어본 한국 부동산 구매 절차

  1. 부동산 중개사와의 상담
  2. 부동산 매물 검색
  3. 현장 방문 및 검증
  4. 계약서 작성 및 계약금 입금
  5. 남은 거래 진행(잔금과 등기)

부동산 매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부동산 중개사와의 상담이나 인터넷 부동산 사이트 검색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현장 방문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skup에게 미국 부동산 구매 절차를 물어보니 '미국 부동산을 취득하기 전에는 반드시 현지 법률 및 세법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부동산 관련 법률 전문가나 세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라고 답을 받았습니다.

 

이 책에서도 미국은 주에 따라서 법률이 다르기 때문에 전문 기관을 끼고 부동산 거래를 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소개합니다.


후기

한국 부동산이나, 미국 부동산이나 손품과 발품을 팔며 구해야 하는 것에는 다름이 없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꼼꼼함!! 미국은 전문 기관이 많아서 사기당할 위험이 적다는데, 책을 읽으면서 한국에서 거래할 때는 정말 세세하게 따지고, 꼼꼼하게 문서와 조건을 확인해야 하겠구나라고 생각했습니다. 미국 부동산에 대하여 공부하다 보니 부동산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 생겼고, 나중에 시드머니가 생기고, 파이프라인을 더 늘리고 싶을 때 다시 읽어보고 싶은 책입니다. 미국에 유학 가거나, 미국 이민을 생각하는 분이 보면 더 좋은 책이라 판단됩니다.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앞으로 3년 경제전쟁의 미래 요약  (1) 2023.08.16
거인의 어깨 1 요약  (0) 2023.02.22
부의 시나리오 간단한 요약  (0) 2023.02.05
머니 트렌드 2023 요약  (0) 2023.01.03
책을 읽어야 하는 3가지 이유  (0) 2022.12.29